생각들8 2024년 회고 부족함을 거듭하며 살아간 한 해였다. 돌아보면 매 순간이 배우고 채워가는 과정의 연속이었고, 완벽하진 않았지만 성장하고자 했던 노력만큼은 진심이었다.회사에서의 생활도 마찬가지였다. 동료들과의 협업 속에서 부족한 점을 깨닫고, 이를 보완하며 나아가려고 시도하였다.부족함 속에서도 배우고 성장했던 시간을 돌아보며, 올 한 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회사생활조직과 프로젝트들넛지헬스케어우리는 금전적 보상(Financial Incentive)과 촉진네트워크(Facilitated Network)를 통해 사람들의 건강행태를 동기부여하여 만성질환을 관리 및 예방할 수 있게 돕는다.라는 미션으로 달리고 있다.현재 캐시워크라는 앱(2024년 포브스 선정 한국인이 사랑하는 모바일 앱 9위)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 외에.. 2024. 12. 21. 고된 훈련 난 무엇을 좋아할까 생각해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지금 하는일이 힘든 건 좋은 것 같네" 어렸을 때 시합을 준비하며 했던 생각이 있다.고된 훈련을 즐기는 사람이 잘해지는구나.지금 생각해보면 훈련을 좋아해서 잘해진것일 수도 있겠지만, 잘하니까 훈련을 좋아하는 것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개발을 할 때 내가 느끼는 기분은 좋은 쪽에 가깝다.개발로 일을 하는 것도 재밌지만, 사실 그냥 뭘 치면서 이건 어떻게 될까? 저건 어떻게 될까? 고민하고 문제를 정말 잘 풀었을 때 즐겁다.그래서 일을 제외한 시간중 제일 많은 시간을 개발에 사용한다.하지만 새로운 걸 도전하거나 학습할 땐 고통스럽다.빨리 해결하고 싶은데 쉽지 않고, 하나만 알아도 풀리는 경우가 아닌 대부분 여러 지식을 알아야 풀린다.이럴 때 마음.. 2024. 8. 15. 2023년 회고 2023년이 끝났습니다. 이번 연말도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배운 점들, 열심히 피드백한 부분들도 있습니다. 2024년엔 2023년에 부족했던 점과 괜찮았던 점을 정리해보고 싶습니다. 또 2023년에 있었던 이벤트들에서 했던 생각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동료분들을 통해 배워가기 2023년 1월 16일 입사 후 1년이 돼 갑니다. 제가 배운 건 세상에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많고 모두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재직 중인 회사에 배울 점이 있는 동료들이 많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좋은 동료들의 장점을 따라 해보려 하고 있습니다. 제일 열심히 따라 하고 있는 건 지금은 이직을 하신 사수님의 행동과 말씀입니다. "동료들의 말을 경청하고 필요한 의견을 제시하며 도메.. 2024. 1. 1. 소프트웨어 원칙을 소통의 재료로 사용하기 (소프트웨어 개발 3대 원칙)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가 있습니다. 의사소통하며 좋은 코드를 만들어가는 경험을 바탕으로 동료들과 신뢰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 과정을 함께하기 좋은 동료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근거를 바탕으로 소통할 수 있고 동료들이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고 느낄 지 고민해봤습니다. 개발팀 내의 소통을 위한 좋은 도구중 하나가 소프트웨어 원칙들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원칙들은 코드베이스의 발전을 위한 의견을 낼 때 좋은 근거가 되주는 것을 많이 경험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들은 설득력을 가지게 된 지 시간이 오래 지나 관련 자료들을 찾기도 쉽고 강한 키워드가 되곤 합니다. 원칙들의 등장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대전제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는 자주 변합니.. 2023. 12. 26. 2022년 회고 2022년이 지났다. 상용되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좋은 교육을 받고, 동아리를 운영하기도 하며 2022년을 보냈다. 2022년의 기억이 휘발되기 전에 2022년을 정리할 목적, 또 2023년을 잘 대비할 목적으로 글을 정리하려 한다. 충북 SW JUDGER 상반기는 학교에서 사용되는 코드 채점 프로그램을 만들며 보냈다. 갑자기 사용자가 많아지고 기능이 추가되며 프로그래밍 과제를 채점하는 기능, 각종 버그들 수정 및 UX 개선등을 2개월 안에 추가해야 했다. 교수님께서는 프론트 팀을 이끌며 개발하라 하셨고 할 지 말 지 고민할 시간조차도 부족했기에 어떻게 해야 될까?라는 생각만 했다. 평소처럼 살아서는 쉽게 될 것 같지 않아 체계를 만들었다. 루틴 만들기 학습해야 하는 부분과 개발할 내용이 동시.. 2023. 1. 11. 1일 1잔디 1년 심은 후기 1년동안 하루 평균 4.6개 하루도 쉬지 않고 잔디를 심었다. 잔디를 연속적으로 심은 계기 개발을 잘하고 싶었다. 그때의 내가 생각한 개발 실력이 느는 방법은 절대적인 양을 투자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매일 조금씩은 코드를 쳐봤던 것 같다. 하지만 나만 아는 꾸준함은 동기부여가 덜 될 것 같았다. 그래서 혹시 내 깃헙을 보실 분들께 꾸준함과 열정을 증명하고 싶었다. 그런 이유로 1년 빼곡하면 멋지지 않을까? 하면서 심기 시작했다. 잔디 심은 후기 잔디는 중요하지 않다. 잔디와 개발실력은 정말 확실히 독립시행이다. 내 잔디 하나가 어떤 의미를 가지냐가 중요함을 요 근래 돼서야 깨닫는다. hello world 출력을 수많은 언어로 만들고 하나씩 커밋하면 백개는 될텐데 그 사람은 개발을 잘할까? 나는 아니라고 .. 2022. 10. 1. 이전 1 2 다음